묻고답하기
| 더브레인랩
100배 빠른 속독에 도전하는 학습
[답변]속독훈련관련 몇 가지 질문
이성봉님의 글입니다. >
1.속독교재 36쪽의 고정점 응시 훈련시 눈을 깜빡여도 상관없나요?
>답변> 상관없지만 안하는 것이 더욱 좋습니다.
>
2.속독교재 62쪽의 포커스 훈련시,
>박자기의 소리에 맞춰 속으로 숫자를 세가며 눈을 이동시켜도 되나요?
>포커스 훈련은 청각에 의한 집중력훈련이 아니라 문자인지력을 강화하는 훈련인데
>속으로 숫자를 세어가며 하면 훈련효과가 떨어지는 것은 아닌가하는 생각이 문득 듭니다.
>박자기 소리를 속으로 헤아리며 훈련하지 말고, 온전히 눈으로만 훈련해야하는지요?
>답변> 소리로 숫자를 세는 것이아니라 소리를 듣고 한점 한점 이동시켜서 마지막 점위 위치로
몇개의 점까지 왔나 확인 합니다.
>
3.속독교재 41쪽 눈스트레칭을 할 때 눈을 어느 위치까지 스트레칭해야하나요?
>12-6-12-6-9-3-9-3 이런 순서로 눈을 움직이다가 숫자가 보이는 순간 그곳에서 바로 다음 방향으로
>눈을 굴려야하는건가요? 아니면 그 숫자를 지나쳐서 제 눈이 움직일 수 있는 최대한의 지점까지 눈을
>움직인 후 다음 방향으로 바꿔야하나요? 특히 9와 3 사이를 움직일 때는 눈을 조금만 움직여도 9와 3이 보이기 때문에
>스트레칭이 잘 안되는 듯한 느낌입니다. 상식적으로 스트레이칭이라함은 근육을 최대한 잡아당기는 운동이라고 알고
>있습니다. 뭐가 맞는건가요? 그런데 제가 임의로 상하좌우 눈이 움직일 수 있는 지점까지 움직이며 스트레칭을 해보면
>기준점이 없어서 동작이 흐트러지는 것이 또 하나 문제점이더라고요. 어떻게 해야하나요?
답변> 눈의 총기를 빠르게 개발하고 또한 눈의 시신경이 뇌와 연결되어있어서 뇌를 활성화 시킵니다.
시폭이 작더라도 내가 할 수있는 가장 빠르기로 하는것이 좋은 훈련입니다.
>>
4.문장적응훈련이 어렵습니다. 지금 초급 10강째이고요, 모든 강의는 3번씩들으며 훈련진행했어요. 오늘이 3일째 훈련입니다.
>그런데 문장적응훈련은 좀처럼 숙달이 안됩니다. 동영상에 나오는 어린친구들이 유난히 잘하는 친구들이라서 그 아이들과
>저를 비교하는 것은 무의미한 일일 것이라는 생각은 들지만 문득 제가 더딘 것은 아닌가하는 걱정이 듭니다.
>속독훈련 시작한지는 3일밖에 안됐지만 아침에 일어나서 저녁에 잠들기 전까지 속독훈련만 하고 있거든요.
>초급9강째지만 아직 문장적응훈련은 1단계를 못벗어납니다. 강사님은 최장 15초정도에 스탑왓치를 멈추시는데
>저는 15초가되어도 전체 글의 반도 채 못보고 있네요. 참고로 전 35살 남자고, 회사퇴직 후 변리사시험을 준비하는 사람입니다.
>책상에 앉아서 하는 공부는 대학졸업 후 8년만입니다. 어떻게 훈련을 해야할까요? 쭈욱 하다보면 언젠가 되겠지 하는 마음으로
>그냥 믿고 해야하는건가요?
>
답변> 문장을 적응 시키는 훈련입니다. 내용보다는 덩어리로 보고 이해하는 훈련이죠. 따라서 처음에는 내용이 부담되어
빠르지 못 할 때 천천히 한번 정독으로 읽어본 후 빠르게 훈련합니다. 단계를 올리는 것에 집착하지 말고 3줄이
동시에 눈에 들어오는 것에 촛점을 맞추어 훈련하면 편안 합니다.
>
답변 부탁드립니다.
>